T2102: 한국어의 문장성분



📌 한국어의 문장성분

한국어의 문장성분은
주어(Subject), 목적어(Object), 서술어(Predicate), 보어(Complement), 관형어(Adnominal phrase), 부사어(Adverb, Sentence adverb), 독립어(Independent word)가 서로 어울려 만들어진다.


1. 주어(Subject)
2. 목적어(Object)
3. 서술어(Predicate)
4. 보어(Complement)
5. 관형어(Adnominal phrase)
6. 부사어(Adverb, sentence adverb)
7. 독립어(Independent word)

📑 예) 1. 주어 : 누가 무엇을 한다.

📘 주어(主語): 「명사」『언어』 주요 문장 성분의 하나로, 술어가 나타내는 동작이나 상태의 주체가 되는 말. ‘철수가 운동을 한다.’에서 ‘철수가’ 따위이다

📘 목적-어(目的語): 「명사」 『언어』 주요 문장 성분의 하나로, 타동사가 쓰인 문장에서 동작의 대상이 되는 말. ‘철수가 책을 읽는다.’에서 ‘책을’ 따위이다

📘 서술-어(敍述語): 「명사」 『언어』 한 문장에서 주어의 움직임, 상태, 성질 따위를 서술하는 말. “철수가 웃는다.”에서 ‘웃는다’, “철수는 점잖다.”에서 ‘점잖다’, “철수는 학생이다.”에서 ‘학생이다’와 같이 주로 동사, 형용사, 서술격 조사의 종결형으로 나타난다.

📘 보어(補語): 「명사」 『언어』 주어와 서술어만으로는 뜻이 완전하지 못한 문장에서, 그 불완전한 곳을 보충하여 뜻을 완전하게 하는 수식어. 국어에서는 ‘되다’, ‘아니다’ 앞에 조사 ‘이’, ‘가’를 취하여 나타나는 문장 성분을 말한다. ‘철수가 지도자가 되었다’의 ‘지도자가’ 따위이다

📘 관형-어(冠形語): 「명사」 『언어』 체언( 명사, 대명사, 수사) 앞에서 체언의 뜻을 꾸며 주는 구실을 하는 문장 성분. 관형사, 체언, 체언에 관형격 조사 ‘의’가 붙은 말, 동사와 형용사의 관형사형, 동사와 형용사의 명사형에 관형격 조사 ‘의’가 붙은 말 따위가 있다

📘 부사-어(副詞語): 「명사」 『언어』 용언의 내용을 한정하는 문장 성분. 부사와 부사의 구실을 하는 단어ㆍ어절ㆍ관용어, 그리고 체언에 부사격 조사가 붙은 말, 형용사가 어미 ‘-게’ 따위로 활용한 말, 부사성 의존 명사구 따위가 있다.

📘 독립-어(獨立語): 「명사」 『언어』 문장의 다른 성분과 밀접한 관계가 없이 독립적으로 쓰는 말. 감탄사, 호격 조사가 붙은 명사, 제시어, 대답하는 말, 문장 접속 부사 따위가 이에 속한다. ‘아, 달이 밝다.’, ‘주한아, 산에 가자.’, ‘청춘, 이것은 듣기만 해도 가슴이 설레는 말이다.’, ‘예, 맞습니다.’, ‘날씨가 흐리다. 그러나 비는 오지 않는다.’에서 ‘아’, ‘주한아’, ‘청춘’, ‘예’, ‘그러나’ 따위이다.

관심 있을 만한 글: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