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시경마당의 호머 헐버트와 세종국어문화원 김슬옹 원장 ⓒ 최준화
한글에 대한 세계의 평가는 어떠한가요?
헐버트(Homer Hulbert, 미국)
한글 짜임새의 간결함과 견줄 만한 문자는 없다.
_헐버트(1889), 한국어. 미국 뉴트리뷴지
제프리 샘슨(Geoffrey Sampson, 문자학자, 영국)
한글은 음성 기관의 소리 내는 모습을 따라 체계적으로 창제된 과학적인 문자일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문자 자체가 소리의 특질을 반영하고 있다.
_ 1985년 《Writing Systems》에서
제어드 다이아몬드 (Jared Diamond,
생물학자, 《총균쇠》 저자, 미국)
한글의 모음들은 한눈에 자음들과 구별된다.
곧, 모음들은 작은 점이 덧붙여진 긴 가로, 세로 선으로 표기되는데 반하여, 한글의 자음들은 모든 것이 꽉 짜여진, 기하학적 부호들로 되어 있다. 서로 관계를 맺고 있는 자음 혹은 모음들은 서로 연관성 있는 모양에 의하여 다시 분류된다.
_Jared Diamond(1994). Writing Right. DISCOVER. 6월호
노마 히데키(野間秀樹, 일본)
한글은 15세기 《훈민정음》(해례본)이라는 놀랄 만한 서적으로 세계사에 등장했다. 설형문자와 갑골 문자를 보아도 알 수 있듯이 문자는 돌이나 점토판에 새겨져 있거나 뼈에 새겨진 형태로 세계사에 그 모습을 드러내었다. 그러나 한글은
단지 새겨진 문자로서가 아니라 새겨져 인쇄된 문자로서 등장하였다. 게다가 놀랄 만한 서적의 형태로, 그것도 문자를 만든 이유와 문자 원리, 용법을 기술한 서적의 형태로 역사에 등장한 것이다. 이 점만으로도 한글은 경이적이기까지 하다.
_ 노마 히데키(2008). 언어를 배우는 〈근거〉는 어디에 있는가 -한국어 교육의 시점-. 《한글》 282. 한글학회. 247쪽.
스티븐스(Kathleen Stephens, 전 주한미국대사)
한국인들은 한글의 아름다움과 창의성을 전 세계인들과 나눠야 합니다. 그것은 한국 문화의 힘에 대해 더 깊은 공감을 불러일으킬 것입니다.
_ 2010년 MBC 한글날 특집 다큐 〈한글 날아오르다〉에서
존맨(John Man, 작가, 영국)
한글은 모든 문자의 꿈이다.
_ 2001년 ALPHA BETA에서
◀️이전 |
목차 |
다음▶️ |
참조 : <<훈민정음 해례본>> 해설 및 설명 : 제자원리
세계인을 위한 할글 이야기 3+5(The Story of Hunminjeongeum and Hangeul for People Around the World 3+5)
이자료는 세종국어문화원, 전국국어문화원연합회 펴낸 자료를 지은이(김슬옹)의 허락을 받아 그대로 옮겼습니다.
|
댓글 없음:
댓글 쓰기